전체 글 81

[현명한 투자자] 방어적 투자자의 주식 투자 - 주식의 장점, 주식 선정 4대 기준, 성장주와 방어적 투자

1) 주식의 장점 - 초판에서 나는 모든 포트폴리오에 주식을 상당 비중 포함해야 한다고 자세히 설명했다.  당시 사람들은 주식이 매우 투기적이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1946년 고점에서 대폭 하락했는데도, 낮아진 주가에 매력을 느끼는 대신 오히려 불신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후 20년 동안에는 정반대 상황이 전개되었다.  주가가 대폭 상승하여 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함으로써 매우 위험해졌는데도,  사람들은 주식이 안전하고 수익성이 높다고 생각했다.  - 1949년 내가 주식에 대해 주장한 요점은 두 가지였다.  첫째, 인플레이션에 의한 구매력 감소를 채권은 전혀 방어하지 못했지만,  주식은 상당 부분 방어했다는 점이다.  둘째, 장기적으로 주식이 채권보다 수익률이 높았다는 점이다.  주식의 배당..

주식 투자 2024.06.30

[현명한 투자자] 투자와 시장 변동성 - 가격 변동성을 이용하는 투자

- 주식은 투자등급이더라도 가격 변동성이 크므로, 이런 가격 변동성에서 오는 수익 기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렇게 수익 기회를 잡는 방법은 두 가지로서, 시점 선택과 가격 선택이다.  시점 선택이란, 주가 흐름을 예측하여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에는 주식을 매수하거나 보유하고,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에는 주식을 매도하거나 매수를 보류하는 방법이다.   가격 선택이란, 주가가 적정 가격보다 낮을 때에는 주식을 매수하고,   적정 가격보다 높을 때에는 주식을 매도하는 방법이다.   더 소극적인 가격 선택으로는, 주식을 매수할 때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치르지 않도록 유의하는 방법도 있다.   장기 보유에 주력하는 방어적 투자자라면 소극적인 가격 선택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주가 수준에도 ..

주식 투자 2024.06.30

[현명한 투자자] 투자와 시장 변동성 - 개요

- 포트폴리오에 편입한 채권이 만기가 비교적 짧은(예컨대 만기 7년 이하인)  우량등급 채권이라면, 시장가격 변동이 심하지 않으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미국저축채권도 마찬가지이다. 언제든 취득원가 이상으로 상환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 채권은 시장가격이 비교적 큰 폭으로 변동할 수 있고, 주식도 시장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기 십상이다.  - 투자자는 이런 가격 변동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금전적 손실과 심리적 충격에도 대비해야 한다.  투자자는 주가 변동으로부터 이득을 얻고 싶어 한다.  주식을 보유하는 동안 주가가 상승하길 바라고,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고 싶어 한다.  이런 심리는 인지상정이며 전혀 불법도 아니다.   그러나 이런 심리는 실제 투기로 이어질 ..

주식 투자 2024.06.28

자바 일반

Q1. JAR 파일이란 무엇인가? - Q1-1 자바 플랫폼에 응용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 Q1-2 소프트웨어 파일 패키지 포맷이란 무엇인가? - Q2. 접근자 메서드란 무엇인가? - 필드값을 가져오는 getter() 메서드를 의미합니다. 반면, 필드값을 설정하는 setter() 메서드는 설정자라고 합니다. Q3. 접근 제어자란 무엇인가? - 변수나 메소드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기 위한 키워드를 의미합니다. Q4. 파싱이란 무엇인가? - Q5. WAR 파일이란 무엇인가? - Q6. 빌드란 무엇인가? - Q7. 스크립트란 무엇인가? - 참고 - JAR (파일 포맷)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JAR (파일 포맷)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

Java 2022.05.16

HTTP 상태 코드

Q1. 100-199는 어떤 상태 코드인가? - Q2. 200-299는 어떤 상태 코드인가? - 정상임을 응답하는 상태코드이다 Q3. 200은 어떤 상태코드인가? - Q4. 201은 어떤 상태코드인가? - Q5. 202는 어떤 상태코드인가? - Q6. 204는 어떤 상태코드인가? - Q7. 300-399는 어떤 상태코드인가? - 리다이렉트하라는 상태코드이다 Q8. 300은 어떤 상태코드인가? Q9. 302는 어떤 상태코드인가? Q10. 304는 어떤 상태코드인가? Q11. 400-499는 어떤 상태 코드인가? - 클라이언트 에러가 발생했다는 상태 코드이다 Q12. 400은 어떤 상태 코드인가? Q13. 403은 어떤 상태 코드인가? Q14. 404는 어떤 상태 코드인가? - Q15. 500-599는 어떤..

네트워크 2022.05.16

HTTP 메서드

Q1. GET 메서드란 무엇인가? - HTTP 메서드 중 하나로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가져오라는 메서드이다 Q2. HEAD 메서드란 무엇인가? Q3. PUT 메서드란 무엇인가? -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Q4. POST 메서드란 무엇인가?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메서드이다 Q5. DELETE 메서드란 무엇인가? -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참고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HTTP 완벽 가이드 - Q1~Q5 5.16

네트워크 2022.05.16

HTTP 헤더

Q1. HTTP 헤더의 용도는 무엇인가? Q2. HTTP 스펙의 변경으로 인해 용어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Q3. HTTP Body의 기능은 무엇인가? Q4. HTTP 표현 헤더에는 어떤 필드들이 존재하는가? Q5. Content-Type의 기능은 무엇인가? Q6. Content-Encoding의 기능은 무엇인가? Q7. Content-Lanuage의 기능은 무엇인가? Q8. Content-Length의 기능은 무엇인가? 참고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Q1~Q8 5.16

네트워크 2022.05.16

테스트

Q1. JUnit5의 어노테이션 중 @Test는 무엇인가? - 해당 메소드가 테스트 메소드 임을 의미합니다. Q2. JUnit5의 어노테이션 중 @BeforeEach는 무엇인가? - 해당 메소드가 테스트 전에 반드시 실행되는 메소드임을 의미합니다. Q3. JUnit5의 어노테이션 중 @AfterEach는 무엇인가? - 해당 메소드가 테스트 후에 반드시 실행되는 메소드임을 의미합니다. Q4. JUnit5는 어떤 자바 버전을 요구하는가? - Q5. 스프링으로 개발을 하면서 테스트를 만들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Q6. 테스트란 결국 어떤 작업인가? - Q7. 웹을 통한 DAO 테스트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Q8. 왜 테스트는 가능하면 작은 단위로 쪼개서 집중해서 해야 하는가? - Q9. 단위 ..

Spring 2022.05.16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Q1. 클래스란 무엇인가? -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작성한 코드, 객체를 생성하는 틀을 의미합니다. Q2. 클래스 내부에 선언한 변수는 무엇인가? - 멤버 변수라고 합니다. Q3. 클래스 내부에 선언하는 함수는 무엇인가? - 멤버 함수 또는 메소드라고 합니다. Q4. 클래스로 객체를 생성하면 어떤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는가? - 메모리의 힙(heap)공간을 할당받습니다. Q5. 디폴트 생성자란 무엇인가? - 클래스에 선언된 생성자가 없을 때, 기본으로 생성되는 생성자를 의미합니다. Q6. 접근 제어자란 무엇인가? - 멤버 변수 혹은 멤버 함수에 대한 접근 수준을 제어하는 키워드를 의미합니다. Q7. getter(), setter() 메서드는 왜 선언되어야 하는가? - 멤버 변수가 접근 제어자 privat..

Java 2022.05.15